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2008/03/01  01:34:59  이데일리

[뉴욕=이데일리 김기성특파원] 2월의 마지막 거래일인 29일(현지시간) 오전 뉴욕 주식시장이 급락세를 타고 있다.

경기후퇴(recession) 우려감을 고조시키고 있는 부진한 주요 소비 및 제조업지표 발표와 AIG 델 등의 실적 부진 여파가 투자심리를 냉각시키고 있다.

금융권의 신용위기 손실이 최소 6000억달러에 달할 것이라는 UBS의 암울한 전망도 주된 악재로 작용하고 있다.

투자심리를 되돌릴 수 있는 호재를 찾아보기 힘든 형국이다.

오전 11시19분 현재 블루칩 중심의 다우 지수는 1만2381.75로 전일대비 200.43포인트(1.59%) 떨어졌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9.58포인트(1.70%) 급락한 2291.99를 기록중이다.

대형주 중심의 S&P500 지수는 1344.81로 22.87포인트(1.67%) 뒷걸음질쳤다.

전날 사상 최고치를 또다시 경신했던 국제 유가는 소폭 하락세로 돌아섰다. 서부 텍사스산 중질유(WTI) 4월물 인도분은 전일대비 배럴당 30센트 밀린 102.29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최근 사흘 연속 사상 최저치 행진을 벌였던 달러 가치는 유로 대비 소폭 상승세를 타고 있다. 유로/달러 환율은 전일대비 0.02센트(0.0132%) 떨어진 1.5192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AIG, 델 `하락`..어슈얼드 개런티, 갭 `상승`세계 최대 보험사인 AIG는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대규모 상각 여파로 지난해 4분기 53억달러의 사상 최대 손실을 기록했다는 소식에 7% 급락세다.

AIG의 4분기 서브프라임 모기지를 포함한 부실자산 상각규모는 총 111억2000만달러에 달했다.

세계 2위 PC 제조업체 델(DELL)도 월가 기대에 못미친 4분기 실적 발표로 1.9% 하락세다.

전날 장마감 이후 발표된 델의 4분기 순이익은 6억7900만달러(주당 31센트)로 전년동기의 7억2600만달러(주당 32센트)보다 6% 감소했다. 이는 월가 전망치인 주당순이익 36센트를 하회한 것이다.

반면 채권보증업체인 어슈얼드 개런티(AGO)는 `억만장자 투자자`인 윌버 로스의 10억달러 투자 소식에 14% 급등세다.

윌버 로스는 우선 2억5000만달러 어치의 주식을 매입하고 나서 추가로 7억5000만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윌버 로스는 이번 투자를 통해 이사회 멤버로 영입된다.

어슈얼드 개런티의 최고경영자(CEO)인 도미니크 프레드리코는 "이번 자금 조달로 중요한 성장 기회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할 수 있게 됐고, 직접 보증과 재보험 시장에 대한 추가적인 확장에 도움을 받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대형 의류 유통업체인 갭(GPS)은 4분기 순이익이 21% 급증했다는 발표에 4.4% 오름세를 타고 있다.

◇美 실질 소비 두달 연속 `제자리`미국의 실질 소비가 인플레이션 압력 증가 여파로 두달 연속 제자리 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상무부는 이날 1월 소비지출이 0.4% 늘어났다고 밝혔다. 이는 마켓워치가 집계한 월가 예상치인 0.2%를 넘어선 수준이다.

그러나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가 0.4% 올라 인플레이션을 감안한 실질 소비는 전월에 이어 두달 연속 보합세를 나타냈다. 이는 명목 소비지출이 인플레이션 압력에 의해 증가했을 뿐이라는 것으로 실제 소비는 침체돼 있음을 의미한다.

핵심 인플레이션 지표인 1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물가지수는 0.3% 상승해 월가 예상치와 일치하긴 했으나 4개월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로써 변동성이 심한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근원 PCE 물가지수는 전년대비 2.2%의 상승률을 기록,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의 안심권인 1~2%를 넘어섰다.

◇"금융권 신용위기 관련 손실 최소 6000억달러"-UBS유럽 최대 은행인 UBS는 29일(현지시간) "금융권이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촉발된 신용위기로 인해 최소 6000억달러의 손실을 입을 것"이라고 암울한 전망을 내놨다.

UBS에 따르면 금융권은 신용위기 발생 이후 지금까지 서브프라임 모기지 관련 1600억달러의 손실을 처리했다.

UBS의 유럽지역 신용전략 헤드인 제로드 샤핀은 "일반적인 예상보다 경제가 더 많은 손실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리스크를 인식해야 한다"며 "견고하고 탄력적인 경제적 배경을 기초로 만들어진 모든 투자 구조가 무너져 내릴 수 있다"고 경고했다.

◇美 소비심리 `악화일로`..2월 미시간대학지수 `예상하회`미국의 소비심리가 신용위기와 고용시장 부진 여파 등으로 악화 일로를 걷고 있다.

미시간대학은 이날 2월 소비자신뢰지수가 전월의 78.4에서 70.8(확정치)로 떨어졌다고 밝혔다.

이는 종전의 예비치인 69.6를 웃돈 것이지만 월가 전망치인 70은 밑돈 것이다.

이로써 미시간대학 소비자신뢰지수는 지난해 1월 정점을 찍은 뒤 30%나 뒷걸음질쳤다.

특히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따라 세금환급을 받는 소비자중 단지 18%만이 세금환급 수표를 소비하는데 쓸 계획이라고 답했다. 반면 31%는 저축에 사용하고, 나머지 51%는 부채를 갚는데 쓰겠다는 밝혔다. 이에 따라 경기부양책의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라는 우려감이 고조되고있다.

◇美 2월 시카고 제조업경기 7년2개월래 `최악`시카고지역의 2월 제조업경기가 지난 2001년12월 이후 7년2개월만에 최악의 상황에 직면했다.

시카고 구매관리자협회의 2월 제조업지수(PMI)가 전월의 51.5에서 44.5로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카고 PMI는 50을 넘어서면 경기 확장을, 이 보다 못하면 경기 위축을 의미한다.

★ 본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Posted by 스노우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