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지난주에 한 온라인 투자전문회사에서 인터뷰를 하러 왔다. 투자에 관련된 이런 저런 질문을 던진 후 마지막으로 "부(富)를 어떻게 생각합니까?"하고 물었다. 순간 당황했다. 가장 기본적인 질문이자 중요한 질문이기 때문이다. 설마 이런 질문을 던지리라고는 전혀 예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 글은 그 질문에 장황하게 주워섬겼던 것들을 조금 정리된 형태로 바꾸어 보려는 시도다.

부에는 여러 측면이 있을 것이다. 필자는 그것을 모두 포착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런 전제를 깔고 부를 개인의 처지에서 보면 부는 필자에게 다음과 같이 보인다.

어떤 사람은 직장에 다니면서 돈을 벌고, 어떤 사람은 자영업으로 돈을 벌고, 또 어떤 사람은 주식투자로 돈을 벌고, 또 어떤 사람은 부동산 투자로 돈을 벌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이렇게 돈을 벌어 모은 부는 그 성격이 모두 같은 것일까?

아니다. 돈을 버는 방식에 따라서 부의 성격이 달라진다. 한 마디로 잘라 말하면 가치 있는 무엇을 만들어서 남에게 주고 그 대가로 돈을 받아서 모은 부는 진짜 부다. 그러나 그런 가치의 생산 또는 추가 없이 얻은 부, 예를 들면 길가에 떨어진 돈을 주은 부는 남의 부를 가지고 온 것이다. 그렇다고 이를 진짜 부와 대비하여 가짜 부라고 하기는 어렵다. 왜냐하면 현실에는 가치의 생산 없이 남의 부를 가지고 와서 부를 늘린 사람이 여럿 있기 때문이다. 이들을 보고 당신이 가진 부는 가짜 부라고 말해 보았자 이는 말하는 사람의 심리적인 자기 위안일 뿐이다.

그러나 부에 진짜 부와 가짜 부의 측면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 부의 가치 또는 크기가 오래 안정된다면 이는 진짜 부다. 그러나 그 부의 크기가 올라갔다 내려갔다 변동이 심하다면 그것은 가짜 부라고 부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사에 다니는 직장인이 회사에서 우리사주(*회사가 직원들에게 주는 회사의 주식)를 받았다고 하자. 그런데 그 주식의 가격 변동으로 우리 사주 가치의 하루 변동이 그 사람의 한 달 월급에 가깝다고 하자. 그래서 이 사람이 직장을 그만두었다고 하자.

이 사람은 가짜 부를 진짜 부와 바꾼 것이다. 한 달 월급은 안정되어 있으나 주식의 가격은 변동이 매우 심하다. 심하면 천당과 지옥을 왔다 갔다 한다. 따라서 이렇게 가격 변동이 심한 것을 이용하여 부를 모으려는 사람이 해야 할 첫 번째 일은 그 심한 변동을 안정되게 하는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일일 것이다. 특히 빌린 돈으로 가격 변동이 심한 자산에 투자하였다면 일시적으로 부가 늘어났다고 좋아할 일이 결코 아니다.

이제 부의 사회적인 측면을 보자. 여기서는 가치 창조 없이 남의 부를 가지고 와서 부자가 되는 것의 한계가 그대로 드러난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이 이런 방식으로 부를 모으려고 한다면 그 사회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모든 사람이 눈을 내리깔고 땅만 보고 하루 종일 다니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지금 한국 사회에는 재테크의 바람이 잘못 불고 있다. 재테크의 밑바탕에는 가치의 창조가 있어야 한다. 즉 가치 창조와 관련된 재테크여야 한다. 그러나 앞바퀴는 빠지고 뒷바퀴만으로 굴러가는 재테크만 이야기되고 있다. 이것은 게임이다. 돈 놓고 돈 먹는 게임이다.

그러나 이 게임도 개인의 입장에서 볼 때는 게임이지만 사회의 입장에서 볼 때는 직간접으로 가치 창조와 연결되기도 한다. 유통시장에서 주식투자 자금이 기업의 투자 자금으로 사용되어 기업이 가치 창조를 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물론 모든 회사가 가치를 창조하는 것은 아니다. 땅 투자 자금이 땅의 개발과 연결되어 가치를 만들어낼 수도 있다. 물론 모든 땅의 개발이 가치를 만들어내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회적으로 중요한 것은 금융자산 투자자금이나 부동산 투자자금이 가치를 만들어내는 정도, 즉 자본 효율성이다. 효율성이 낮은 쪽에 너무 많은 자금이 몰리면, 특히 부채 확대까지 일어난다면 이는 자원의 낭비이자 여러 경제 현상에 객관적 그리고 주관적 왜곡을 만들어내며 경제 부분 간의 불균형을 만들어낸다. 이런 불균형을 정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로 경기 변동이다. 때로 그 정도가 심하면 경제 내부의 자율적인 반동(*불황)이 오거나 아니면 정치적인 조정(*집단 사이의 갈등)이 일어나게 된다. 이런 조정이 일어나지 않으면 그 사회의 시스템 자체가 파괴되기 때문이다.

우리 인간이 성장했다고는 하나 성장한 정도보다는 원시적 본능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 정도가 훨씬 더 클 것이며, 그것이 훨씬 더 큰 힘을 내고 있다. 이런 탓에 역사에는 비슷한 일을 되풀이되어 일어나고 있다. 역사가 우리에게 주는 유일한 교훈은 “인간은 역사에서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는 것일지도 모른다.

[하상주 가치투자교실 대표]

★ 본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Posted by 스노우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