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 기업의 적정 주가를 평가할 때 대표적으로 쓰이는 지표가 'PER(Price Earnig

Ratio)'다. 그 기업의 주가를 주당순이익으로 나눈 값으로서 일반적으로 PER 비율이

높으면 주가가 높은 것이고, 낮으면 주가가 낮은 것이라고 평가한다. 즉 주가가 기

업의 내재가치에 비해 고평가 혹은 저평가돼 있는지 판단하는 기준으로 쓰인다.

적정 주가를 판단하는 또다른 지표로 'EV/EBITDA'가 있다.

'EV(Enterprise Value)'는 기업 매수자가 기업을 매수할 때 지불해야 하는 금액

을 뜻하며 우선주를 포함한 시가총액에 순부채(총차입금-현금과 예금)를 더한 것이

다. 즉 EV는 타인자본의 몫을 포함하여 기업의 전체가치를 표시하는 셈이 된다.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는

이자비용, 법인세비용, 감가상각비용을 공제하기 전의 이익을 뜻한다. 이는 기업이

자기자본과 부채를 이용해 어느 정도의 현금흐름을 창출할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

표이다.

'EV/EBITDA'는 기업가치와 영업현금흐름의 비율로서 투자원금을 몇 년만에 회수

할 수 있는지를 나타낸다. 즉 이 수치가 낮다는 것은 주가가 낮으면서도 영업현금흐

름이 좋은 기업이라는 뜻이며 달리 말하면 영업력과 재무구조가 좋음에도 주가가 낮

은 종목이라는 의미가 된다.

PER와 EV/EBITDA 둘 다 해당 기업을 인수 혹은 매수했을 때 그 기업이 어느 정

도의 이익을 창출하는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기업가치를 당기순이익으로만 보는 PER에 비해 실질적 이익인 현금으름

으로 판단하는 EV/EBITDA는 감가상각방법, 법인세, 금융비용 등의 영향을 받지 않기

기 때문에 국제비교지표로서 유효하다. 또한 금융비용 차감 전의 이익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재무레버리지가 다른 기업간 비교에도 적합하다.

단 현금의 실질적 흐름을 보는 EV/EBITDA는 연결재무제표를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한 투자지표이다. 따라서 단독재무제표를 주된 재무제표로 사용하는 한국에서 E

V/EBITDA를 사용할 때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단독재무제표에서 분자인 EV에

는 자회사 투자분이 반영돼 있는데 반해 분모에 해당하는 EBITDA에는 자회사로부터

의 영업수익흐름이 배제돼 있다. 즉, 자회사를 주요하게 볼 경우에는 연결재무제표

를 사용하든가 아니면 EBITDA에 대한 적절한 수정이 필요하다. (금융증권부 김태은

기자) tekim@yna.co.kr

★ 본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Posted by 스노우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