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08. 1. 30. 23:15

사께다 전법 공부하자!! 아자~!!/경제용어&상식2008. 1. 30. 23:15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 사께다 전법(사카타 5법)은 일본 에도시대 8대 쇼군 요시무네 당시 사께다

항구에서 쌀거래로 일본 경제를 흔들었던 사카타의 거상(巨商) 혼마 무네히사(本間

宗久, 1717~1803년)가 창출한 이론을 구체화하여 실전에 적용시킨 전통적 투자기법

으로 주가의 기본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사께다 전법은 3산(三山), 3천(三川), 3공(三空), 3법(三法)으로 구성되어 있으

며, 이중에서 3산, 3천, 3공은 각각 미국에서 창출된 패턴분석 가운데 가장 신뢰도

가 높은 헤드 앤 숄더형(Head & Shoulder), 역 헤드 앤 숄더형(Reverse Head & Shou

lder), 갭(Gap)과 같은 모형이어서 신뢰도가 더욱 높다.

1. 삼산(三山)

고점에서 봉우리가 3개라고 해서 삼봉형이라고도 불리우며, 지속적인 주가상승

이후에 매수세력이 유입되지만 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하락추세로 반전되는 패턴

이다.

2. 삼천(三川)

삼산형의 정반대의 패턴으로 흔히 3중 바닥형으로 불린다. 거래량이 증가하며

바닥 저점을 높이는 것이 특징이며, 장기간 하락추세에서 상승추세로 전화되는 확률

이 매우 높은 패턴이다.

3. 삼공(三空)

삼공은 갭(Gap)을 의미하는데, 주가가 어느 날 매매거래 없이 갑자기 급등 혹은

급락함으로써 주가 매매가격의 빈 공간을 말한다. 크게 상승갭과 하락갭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런 갭이 3회 이상 연속 발생하는 경우를 3공이라고 한다. 주가가 큰

폭으로 급등한 상태에서 3공이 발생하면 추세전환시점으로 해석한다.

4. 삼병(三兵)

삼병형은 적삼병과 흑삼병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바닥권에서 적삼병은 상승

신호, 상투권에서 흑삼병은 하락신호를 의미한다.

5. 삼법(三法)

삼법이란 매(賣), 매(買), 휴(休)를 말하는 것으로, 여기서는 특히 휴를 강조한

것이다. 삼법형은 '쉬는 것도 곧 투자다'라는 주식에 관한 격언처럼 매수, 매도가

불확실한 상황에서 주가가 움직이는 방향을 기다리며 일정 기간 휴식이 필요하다는

것을 말해준다. (국제경제부 이효지 기자)

★ 본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Posted by 스노우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