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 30. 22:43
페리 기법 공부하자!! 아자~!!/경제용어&상식2008. 1. 30. 22:43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 페리 기법은 헤지펀드 등이 적대적 기업인수.합병(M&A) 등을 시도하면서 이면으로는 헤지거래를 통해 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말한다. 페리 기법은 골드만삭스의 파트너 출신인 리처드 페리가 구사한 M&A 기법이다. 금융감독원은 페리 기법이 '주식 스왑'등에 가까운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주식 스왑은 헤지펀드가 은행에서 돈을 빌려 기업 주식을 산 뒤 주가변동으로 발생하는 이익과 손실은 증권사에 넘기고, 그 대가로 증권사에서 일정한 금리를 받아 은행에 이자로 지급하는 이면 계약이다. 헤지펀드는 의결권이 있는 주식을 갖고 있으므로 주가변동에 따른 투자 위험에 상관없이 M&A에 나설 수 있다. 펀드 자신은 돈 한푼 없이 의결권을 행사해 M&A가 성사될 경우 큰 이득을 챙기지만 실패해도 손해를 입지 않아 손쉽게 '치고 빠지는' M&A 거래를 시도할 수 있다. 미국에선 헤지펀드가 특정 기업의 주식을 대량 매입한 뒤 주가변동 위험은 증권사에 전가(헤지 계약)한 상태에서 M&A를 시도하다 실패해 이 사실을 모르는 일반 투자자들만 주가 하락 등으로 손실을 입는 사례가 있었다. 금감원은 지난 3월 소액 투자가들의 피해를 막기 위해 5% 이상의 지분을 가진 투자자가 최초로 보고서를 낼 때 '주요 계약 내용'에 손실회피를 위한 헤지 계약이 포함돼 있는지 자세히 쓰도록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한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