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0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08. 1. 27. 13:09

일본의 디플레이션은? 읽어볼만한글/하상주2008. 1. 27. 13:09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일본의 디플레이션은?
2008.1.24
하상주
 
먼저 그림을 보자. 아래 그림은 일본의 주가는 1989년부터 땅값은 1991년부터 장기로 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럼 일본 정부는 이런 하락을 막기 위해서 무엇을 했을까? 가만 있었을까? 아니면 지금의 미국처럼 금리를 낮추었을까?
 
 
 
 아래 그림은 일본의 재할인율이다. 일본 중앙은행은 1991년부터 재할인율을 낮추기 시작했다. 이 결과 통화량은 늘어났을까? 통화량이 늘어났다면 물가는 어떻게 되었을까? 금리를 낮추었는데도 왜 주가와 땅값은 계속 떨어졌을까?
 
 
 
 
 
아래 그림은 일본의 통화량이다. 통화량은 1992년부터 증가속도가 높아지기 시작했다. 특히 중앙은행이 은행에게 빌려주는 monetary base는 빨리 늘어났다. 그럼 이 결과 물가는 어떻게 되었을까?
 
 
 
아래 그림은 일본의 물가와 실업률이다. 통화량이 늘어나는데도 즉 정부의 금리인하 정책 결과로 통화량이 늘어나는데도 물가는 증가율이 낮아지다 떨어져 버렸고, 실업율은 계속 올라갔다. 왜 그랬을까? 왜 통화정책이 효과를 내지 못했을까?
 
 
여기 재미있는 지표가 있다. 이는 일본 은행의 신용(*부채)은 통화량 지표와는 달리 증가율이 낮아지다 줄어들어 버렸다. 만약 이 지표를 통화지표로 사용한다면 금리의 인하에도 불구하고 물가가 낮아지고 실업률이 늘어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나아가서 주가가 떨어지고, 땅값이 떨어지는 것도 말이다. 과연 미국에도 이런 일이 일어날까? 만약 일어난다면 앞으로 일어날 일은 디플레이션이다.
 
 

★ 본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Posted by 스노우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