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1. 25. 22:06
상품(Commodity) 공부하자!! 아자~!!/경제용어&상식2008. 1. 25. 22:06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 달러 약세와 국제금융시장의 불안으로 안전자산선호 현상이 높아지면서 금값이 연일 사상최고 기록을 갈아치우고 있다. 투자대상으로 금은 주식, 채권, 환율 등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금 같은 금속, 곡물, 원유 등을 상품(Commodity)이라고 한다. 산업은행 산하 산은경제연구소는 금융시장에서 상품은 주식이나 채권 이외에 곡물, 금속, 원유 등 상품거래소에서 거래되는 물리적(physical) 실체를 의미한다고 정의했다. 상품은 그 특성에 따라 크게 에너지(원유, 난방유, 천연가스 등), 비철금속(구리, 납, 알루미늄 등), 귀금속(금, 은, 팔라디움 등), 농산물(옥수수, 밀, 콩 등), 축산물(돈육 등), 기타(커피, 설탕 등) 등으로 나뉜다. 상품은 실물 거래의 특성상 기본적으로 선물.선도 거래의 특성을 가진다. 거래소에서 상품을 매도.매수하더라도 거래의 완료를 위해서는 실물 인도가 전제돼야 하므로 기본적으로 시차(time-lag)가 발생한다. 아울러 가격리스크 이외에도 운송 및 인도(변질가능성)리스크 등 실물의 인도관련 리스크의 존재가 주식.채권과 다른 상품 거래의 주요한 특징 중 하나다. 상품거래소는 각국의 산업특성 및 입지 등의 요인으로 지역적 편차를 보인다. 대부분의 상품 거래소는 세계 최대의 산업생산.소비국가인 미국에 위치하는데 교역의 중심지인 시카고와 뉴욕이 주축이다. 그 외에 캔자스시티 등 도시별로 소규모 상품거래소 존재한다. 원유나 비철금속의 경우 런던의 거래소들이 강세를 보인다. 세계주요 상품거래소와 주요상품선물은 뉴욕상업거래소(NYMEX)의 서부텍사스중질유와 천연가스, 뉴욕상품거래소(NYBOT)의 설탕과 커피, 뉴욕상업거래소 산하 귀금속 거래사업부(COMEX)의 금과 은, 시카고상품거래소(CBOT)의 옥수수와 대두, 대련상품거래소(DCE)의 대두, 시카고상업거래소(CME)의 생우육과 돈지육, 국제석유거래소(IPE)의 브렌트유와 경유, 런던금속거래소(LME)의 알루미늄과 구리, 상해선물거래소(SHFE)의 구리, 동경상품거래소(TOCOM)의 휘발유와 등유 등이다. (이종혁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