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리먼 브라더스는 죽이고 AIG는 살리는 이유가 뭡니까? 

AIG는 살았고 리먼은 죽었습니다.
이게 결국 엮인 게 많아서 전체 시장에 큰 영향을 주는 회사는 살리고 죽어도 그만 살아도 그만인 회사는 죽인 것이죠. (리먼브라더스는 파생상품 거래는 안 하는 것으로 유명했다고 합니다. 리스크회피적인 회사로 채권중심으로 운영 되었다고 하지요. 때문에 망해도 파급 효과가 상대적으로 작다고여겼다고 합니다.) 대마불사 큰놈은 죽지 않는다

이런 말이 있습니다. 빚지는 것도 능력이다.
그렇습니다. 의돈 끌어들이는 것 능력입니다.
실제로돈은 꿔주기 전에는 빌리는 사람이 을이고 빌려주는 사람이 갑이지만, 꿔주고 나면 정반대의 상황이 발생하곤합니다.

시저와 크라수스가 생각나는군요.
시저는 40살 이전까지 놀고먹고 빚만 엄청나게 많이 지었죠.
아주 천문학적이었다고하는데, 이때 이를 빌려준 사람이 크라수스입니다.
크라수수는빚을 받기 위해서는 시저를 도와줄 수 밖에 없는 입장이 되었고,
결국 3두정치의 형태로 시저는 두각을 나타내게 되었죠.
또 시저가 짱구를 굴려, 크라수스를 죽을 수밖에 없는 전쟁으로 몰아넣고 크라수스의 죽음과 함께 모든 빚을 청산해버렸죠.

참 아이러니한 현상이지만
, 빚을 아주 화끈하게 져버리면 이것 자체로큰 힘이 나타납니다. 마치 물귀신이 되는 것과 같지요. AIG가 무너지면 이게 심각합니다.. 그래서살았습니다. 베어스턴스가 무너지면 베어스턴스의 카운터파트가 되어준 JP모건이난감해지죠, 그래서 인수되었습니다. 안타까운 리먼은 그냥망했죠.

역사는 반복된다고 합니다.
전혀 다른 사건이지만, 시저와 AIG를 비롯한 구제받은 회사들의 입장은 같은 듯 합니다.

내용출처 : ttp://enterpriser.tistory.com 청년기업가의 솔직한 대화 VLOG

★ 본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Posted by 스노우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