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얼마 전 주식투자의 현인이라 불리는 워렌 버펫은 많은 사람들이 예상하는 것보다 침체기가 길고 더 심각할 것이라고 자신의 생각을 밝혔다. 이는 소비자들이 휘발유와 식료품 가격이 치솟는 것을 체감하면서 생필품 외 다른 것을 구매할 돈이 없다고 부담을 느끼고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달았다. 또한 워렌 버펫은 이러한 침체기가 상당히 길고 그 정도가 꽤 강할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

 

워렌 버펫의 이 같은 말은 최근 미국 주식시장이 재차 반등하고 있는 모습과는 사뭇 다른 것이다. 현재 미국 주식시장은 서브프라임 악재를 해소하고, 바닥을 확인 한 후 다시 상승하기 위한 힘을 비축하고 있는 모습이다. 하지만 워렌 버펫의 이와 같은 언급은 현재 시장의 모습과는 상당히 괴리가 있는 것이다.

 

현재 미국의 모습은?

경제 적으로 한국은 미국의 속국이라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내수시장이 작고, 수출주도형인 한국 경제는 미국의 소비에 따라 경제여건이 좌지우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과 비슷한 모습으로 상승하고 있는 한국의 모습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미국의 모습을 알아야 한다.

 

현재 미국 서민들은 휘발유와 각종 식품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리세션(경기침체) 다이어트 중이다. 생활비를 절약하기 위해 각종 생필품을 저렴한 것으로 대체하고 서비스도 가격이 저렴한 것으로 바꾸고 있다.

 

지난 2006년 미국의 저축률은 -1.1%로 기록됐다. 돈을 쓰고 싶어 저축을 깨면서까지 소비를 했다는 뜻이다. 이는 부동산 가격 상승과 주식시장 활황으로 인한 부의 효과 때문에 가능했다. 즉 소비를 많이 해도 자신이 보유한 자산 가격이 상승하기 때문에 미래에 더 부자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고, 이는 소비로 이어졌다. 그런데 올라갈 것이라고만 생각했던 이런 자산 가격이 급락했고, 현재 미국인들은 부동산 구입을 위한 은행 융자금의 이자조차 낼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때문에 현재 미국인들은 소비를 급속도로 줄이고 있으며, 이 같은 현상은 70년 대 오일쇼크 이후 처음으로 소비가 줄어든 것이다.

 

실제 자료를 봐도 이와 같은 모습은 극명하게 드러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그 동안 미국인들의 생활패턴은 소비 중심이었으나, 현재는 어쩔 수 없이 지출을 줄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생필품 가격이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반면 주택 가격은 하락하고 월급은 더 이상 오르지 않고 있으며 실질자가 늘어나고 증시도 부진한 모습을 보이면서 소비자들이 침체 다이어트를 절실히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영향은?

최근 미국 기업의 실적을 보면, 서브프라임 사태로 인해 극히 저조할 것이라고 예상했던 것과 달리 대부분의 기업은 큰 실적하락을 보이지 않았다. 즉 예상보다 나쁘지 않은 실적을 냈던 것이다. 때문에 현재 미국 시장은 서브프라임의 영향에서 벗어나 다시 상승을 시도하고 있다고 하는 것이며, 미국의 영향을 많이 받는 한국 주식시장도 미국과 비슷하게 다시 상승의 모습을 보이며 KOSPI지수는 1800선에서 지탱을 받는 모습이다.

 

그런데 미국의 소비 감소는 우리나라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

우리나라는 수출주도형 기업이다. 즉 외국에서 원자재를 사와서 가공한 후 완제품을 다시 해외에 팔아 돈을 버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런데 세계최대의 소비국인 미국이 소비를 줄이면 한국 기업의 실적은 낮아질 수 밖에 없다. 아무리 만들어도 소비하는 사람의 지갑이 열리지 않는다는 뜻이다.

 

또한 최근 미국인들의 소비 감소는, 미국인들의 소비 추세가 변했다는 것을 반증한다. 사람은 편안한 삶을 살다가 갑자기 불편한 삶을 살지 못한다. 엘리베이터가 타고 다니다가 다시 계단을 이용하기 싫어하는 것이 당연하다. 때문에 소득이 일시에 줄어들어도 소비패턴은 갑자기 변하지 않는다. 그런데 이런 소비패턴이 바뀌기 시작했다는 것은 향후에도 미국인들의 소득의 큰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이상 소비가 늘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뜻한다.

 

때문에 현재 기업들의 실적이 예상보다 나쁘지 않았다해도 2/4분기 이후에는 예상보다 좋지 않을 수 있다는 뜻이 되며, 이렇게 될 경우 한국 주식시장은 한동안 정체기에 머무를 가능성이 크다.

때문에 현재 국내 주식형 펀드 등에 가입한 사람은 한국 기업의 실적을 유심히 살펴봐야 하며, 더 나아가 미국 기업들의 수익과 함께 미국인들의 소비패턴 변화도 살펴봐야 하는 것이다.


출처
원문보기 : http://bank.naver.com/column/expert_view.nhn?uid=465&expert_id=&page=1


★ 본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Posted by 스노우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