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5/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2008. 4. 13. 18:45

투자의 이노베이션 읽어볼만한글/이현2008. 4. 13. 18:45

★ 블룸버그&실시간 지수     FX News     forexfactory.com     통계지표     네이버 뉴스     다음 뉴스     전자공시

투자의 이노베이션

미국의 뮤츄얼펀드(mutual fund)업계는 월가의 전설적 영웅 피터 린치가 운용했던 마젤란펀드의 피델리티사와 인덱스펀드의 대명사인 뱅가드그룹의 양대 펀드 패밀리가 이끌고 있다. 피델리티사는 정보는 주가에 서서히 시간을 가지고 주가에 반영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보다 더 노력하면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가정하에 주로 펀드매니저의 주관적인 능력이나 판단에 의존하여 주식을 선정해서 투자하는 적극적(active)운용방식을 택하고 있는 반면, 뱅가드그룹은 정보는 주가에 즉시에 반영된다는 효율적 시장가설을 믿고 시장수익률만을 목표로 하는 소극적(passive)방식으로 자산을 운용한다.

물론 펀드운용의 주류는 피델리티사가 운용하는 적극적운용 방식이고, 뱅가드는 76년 소개된 이래 미국 펀드업계로부터 '이단아' 취급을 받았다. 그러나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최근 10여년간 증시 활황으로 소극적운용의 전형인 인덱스펀드의 수익률이 300%이상을 거두면서 98년 미국 뮤츄얼펀드로 유입된 신규자금의 20%가 인덱스펀드로 몰린 데 이어, 99년에는 그 비중이 40%에 이르렀다. 근래 수년간의 인기에 편승하여 2001년에는 주식자산 중 인덱스화된 자산의 비율이 미국 40%, 영국이 25%에 달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월가 전문가들에 따르면 향후 2,3년 내에 뱅가드그룹이 미국 뮤츄얼펀드업계의 1위에 오를 것으로 보는 견해가 지배적이다. 1798년 프랑스의 나폴레옹함대를 궤멸시킨 영국 넬슨제독의 모함 이름을 따 '뱅가드'라고 이름을 지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뮤츄얼펀드회사로 성장한 뱅가드그룹이 정상에 오르는 날도 그리 멀리 남지 않은 것이다.

소극적운용 또는 인덱스펀드(Index Fund)란 한마디로 인덱스를 사는 투자다. 여기서 인덱스란 주가지수를 말하는 것으로서, 펀드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특정 주가지수의 수익률에 연동하도록 펀드를 구성하는 것이다. 주가지수는 단순한 주식들의 집합이기 때문에 그 지수를 구성하는 주식들을 매입하는 것이 된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종합주가지수라면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는 전 주식을 대상으로 산출되기 때문에 전 종목을 대상으로 시가총액비율만큼 사면 인덱스펀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느 종목을 얼마만큼 살고 팔 것인가에 대해 고민할 필요도 없으며 그 회사의 펀더멘털이나 과거의 주가 움직임도 고려할 필요가 없게 된다.

뱅가드 그룹의 설립자 존 보글(John Bogle)은 '주가는 그때그때 모든 시장 정보를 반영하기 때문에 독자적으로 주가를 예측해 미리 매매하려는 것은 무모하다'고 말한다. 또 몇 년은 반짝일 수도 있으나 극소수를 제외하곤 시장수익률 이상의 투자수익을 장기적으로 올리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시세를 이기려 하지 말고 순응하라는 것이 그의 주문이나 여전히 적극적인 투자를 고집하는 펀드들을 보면서 '희망이 경험을 이기는 상황'이라고 경고한다.

그러나 새로운 정보가 가격변화의 방아쇠 역할을 한다고 하더라도 정보는 어떤 예상할 수 있는 패턴을 가지고 도래하는 것은 아니다. 어떤 날은 신문지면 가득히 새로운 정보로 가득 차는가 하면, 어떤 날은 흥미 있는 뉴스를 한 건도 발견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어떤 정보는 세계를 흔들고도 남을만한 위력이 있는가 하면 어떤 정보는 취급하기에도 역부족인 것도 있다. 이러한 정보의 랜덤워크가 주가의 랜덤워크를 이끄는 것은 당연하다.

끝으로 투자자가 주의해야 할 것은 정보와 노이즈(noise)의 구분이다. 노이즈란 사람들이 정보라고 믿고 있지만 사실은 단순한 루머나 미숙한 분석의 오보, 또는 직감에 지나지 않는 재료에 근거하여 매매를 할 때에 나타난다. 그러한 노이즈에 착각한 투자자는 '빨리 빨리'라고 외치면서 시세에 반응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노이즈에 근거하여 거래를 하는 것은 노이즈에 근거하여 감각으로 투자하는 것을 즐기기 때문이다.

사람에 따라서는 그가 노이즈에 근거하여 투자한다는 것 자체를 모르고 있으며, 신뢰할 만한 정보에 근거하여 투자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노이즈의 존재가 바로 우리들의 관찰을 불완전한 것으로 만드는 것이다.

출처 : http://bbs.kiwoom.com/ivsthelp/StockStory2/allbody.jsp?num=29&tnum=66


★ 본 내용은 사실과 다를 수 있으며, 투자로 인한 손실에 대해서는 책임지지 않습니다.

:
Posted by 스노우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