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원이 30일만에 53억원이 되는 원리-투자는 시간이다 읽어볼만한글2008. 3. 31. 00:41
세계적인 주식투자의 대가인 워런버핏은 이런 얘기를 했다.
“어머니가 내게 복리의 중요성을 누누이 강조하기 시작한 순간부터 더 이상 진도를 나갈 필요가 없었다 “
그만큼 복리의 중요성에 대해서 강조한 말이고 실제로 우리가 투자를 함에 있어서 이러한 복리의 중요성과 의미를 늘 마음속에 간직해야 하겠다.
폴라슨과 모닝스타가 지은 ‘위대한 투자자들의 12가지 투자 전략’이라는 책에 보면 이러한 복리의 개념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만약에 당신이 다른 사람에게서 다음의 두 가지 제안을 받는다면 어떤 것을 선택할 것인가?
“30일 동안 매일 100만원씩 받겠습니까? 아니면 10원을 30일 동안 매일 두 배씩 늘려서 받겠습니까?” 단순 생각하기에는 그냥 100만원씩 30일 동안 받아서 3천 만원을 손에 쥐는 것이 유리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계산해보면 두 가지의 방법에는 엄청난 차이점이 있다는 것을 잊어서는 안된다.
매일 100만원씩 받을 경우 30일 뒤에는 3천 만원이 되지만, 10원을 매일 두 배로 늘릴 경우 30일 뒤에는 약 53억원이 되기 때문이다.
10원이 53억원으로 불어나는 것에서도 볼 수 있듯, 복리는 마법과도 같은 힘을 휘두르기 때문에 세계의 여덟 번째 기적이라 불리기도 한다. 복리의 이러한 마술은 돈이 복리로 불어나면 우리의 재무 목표를 달성하는 데 매우 큰 도움이 되고 투자의 큰 중심 마인드로 삼아야 겠다.이처럼 복리의 원리를 조금만 투자에 이용하면 남들보다 훨씬 빠르게 재무목표를 달성해서 부자도 될 수 있고 나름대로 투자의 맛도 느낄 수가 있을 것이다.
복리의 원리를 다시 한번 정리 하면 1,000원에 대한 투자수익률이 10%라면 1년 뒤 이 돈은 1,100원이 되고 이 1,100원을 다시 10%로 투자하면 초기 투자액 1,000원은 2년 뒤에는 1,210원이 된다. 첫해의 수익은 100원에 불과했지만 두 번째 해의 수익은 110원이다. 복리의 가장 기본적인 규칙은 투자의 이익이 더 많은 이익을 불러오고 시간과 투자되는 금액이 커질수록 훨씬 높은 결과를 얻을 수가 있다는 것이다.
다음의 공식을 이용하면 복리를 계산할 수 있다.
FV = PV(1+¡)N
※ FV = 미래가치(Future Value : 미래에 받게 될 금액), PV = (Present Value : 현재의 금액), ¡ = 이자율(투자수익률 또는 이자율), N=연수(투자한 기간)
자 여기 두 명의 사람이 있다.이 두 사람이 10억 원을 모으기 위해 선택한 방법을 알아보자.
1. 이기적씨는 40년 동안 매해 2,500만원씩 저축한다.2. 길억씨는 1천원으로 시작해서 20년 동안 매년 돈을 두 배로 불린다.
이기적씨 처럼 매년 2,500만원씩 투자할 수 있다면 더 바랄 것이 없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매년 2,500만원씩 투자하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젊은 시절에 열심히 해서 가능하겠다고 하지만 결혼을 하고 아이가 생기고 교육비에 한 가정을 이루면서 40년간을 꾸준하게 이 금액을 저축하기는 어려울 듯 싶다.
길억씨는 처음에 1천 만원을 투자해 복리로 20년 동안 매년 100%의 수익률을 거둔다고 한다면 복리의 마법이 있기에 훨씬 쉽게 10억 원을 모을 수 있었다. 기간도 이기적씨의 반밖에 걸리지 않았다. 하지만 길억씨의 경우에도 쉬운 투자는 아니다.아니 오히려 거의 어렵다고 봐야 한다. 20년 동안 계속해서 연 100%의 수익률을 올리기는 어림도 없고 한 해에 100%의 수익률을 거두기도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그럼 결론은 무엇인가?가능하면 많은 금액을 또 가능하면 높은 수익률로 장기 투자하는 방법밖에는 없다.
즉 위의 두 가지 경우를 혼합해서 투자하자는 의미이다.신문이나 인터넷에서 기사를 보거나 전문가들의 인터뷰 내용을 읽어보면 ‘장기투자’와 ‘분산투자’라는 표현이 안 나오는 기사나 인터뷰 내용은 없다.
그만큼 중요하니까 많이들 강조하겠지만 실제로 이를 실천하는 사람은 몇이나 될까?
한 펀드를 3년 이상 가지고 있는 수강생을 거의 본 적이 없다.아파트나 주택 등의 부동산을 10년 이상 장기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분들도 극히 소수이다.
우리의 인생을 최근의 평균수명으로 잡아도 80세에서 100세라고 한다면 성인 이후에 10년 단위의 투자를 해도 총 8번의 기회가 있다.노년에 판단력도 흐려지고 투자가 어렵다고 해도 적어도 6~7번의 꽤 장기 투자 기회가 있는 것이다.물론 사람의 조급증이 투자의 가장 큰 위험요소이자 장애요소라고 하지만 그래도 이런 점을 감안하면 부자가 되고 풍요로운 노년을 보낼 수 있는 준비기간으로는 충분하지 않은가?
HB파트너스 대표이사 서 기 수